포스트

데이터 통신 #12

LAN

  1. LAN : Local area network, 작은 범위의 컴퓨터 네트워크.
  2. 유선 LAN - 이더넷 : IEEE 프로젝트 802, 이더넷을 제외하고 대부분은 사라짐. 표준(10Mbps), 고속(100Mbps), 기가비트(1Gbps), 10기가비트(10Gbps) 이더넷이 존재(현재는 더 많음)
  3. 표준 이더넷 : 10Mbps, CSMA/CD, 매체 공유(버스형), 비연결형 프로토콜, 신뢰성 없는 서비스, 확인 응답 미제공, 48bit 주소 체계
  4. NIC : Network Interface Card, 각 지국(개인PC)이 가지는 자신의 네트워크 카드
  5. 고속 이더넷 : 100Mbps, 48bit 주소 체계, 네트워크 최대 길이가 1/10이 되는 방식으로 속도 증가, 성형 구조(허브 사용)
  6. 자동 협상 : 두 지국이 전송 모드 또는 데이터 속도를 협상할 수 있게 하는 기능
  7. 기가비트 이더넷 : 반이중 & 전이중 접근 방식 제공, 중앙에 스위치가 존재, 스위치로 인해 충돌 X
  8. 10기가비트 이더넷 : CSMA/CD 사용 X (충돌이 없기 때문), 전이중 접근 방식, 매체로 Fiber만 사용, Encoding 방식의 변화
  9. 무선 이더넷 : 무선 LAN, 일부 국가에서는 WiFi 라고 부른다. IEEE 802.11 프로젝트
  10. BSS(Basic Service Set) : 기본 서비스 집합
  11. AP : Access Point, 접근점
  12. ESS(Extended Service Set) : 확장 서비스 집합, 2개 이상의 BSS
  13. DCF(분산 조정 함수) : 무선 이더넷의 MAC 부계층 중 하나, 매체를 감시하는 CSMA/CD 방식의 통신, RTS,CTS,ACK 등의 발신,수신 응답 신호를 사용
  14. 숨겨진 지국 문제 : 어떤 지국이 아무런 징조없이 CTS만 받는다면, 채널에 숨겨진 지국이 있다고 판단해 CTS에 담긴 전달 시간으로 전송 시간이 끝날 때 까지 대기하는 것
  15. PCF(점조정 함수) : 무선 이더넷의 MAC 부계층 중 하나, BSS에서만 구현, DCF 상위 구현 & 우선권
  16. 네트워크 할당 벡터 : NAV, Network allocation vector, 충돌 회피를 위한 핵심 기능이자 타이머 역할
  17. 핸드셰이킹 주기 : RTS나 CTS 제어 프레임이 전달되는 시간
  18. 핸드셰이킹 동안의 충돌 : RTS나 CTS 제어 프레임이 전달되는 시간 동안의 충돌
  19. 노출된 지국 문제 : 통신에 문제가 없음에도 CTS로 인해 통신을 멈추는 지국이 발생하는 문제
  20. FHSS : 물리층에서의 전송 방법 중 하나, 주파수 도약 대역 확산
  21. DSSS : 물리층에서의 전송 방법 중 하나, 직접 순서 대역 확산
  22. Infrared : 물리층에서의 전송 방법 중 하나, 적외선 파장 영역
  23. 무선 LAN - 블루투스 :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 IEEE 802.15 프로젝트
  24. Ad hoc network : AP가 없는 BSS
  25. 피코넷(Piconet) : 1개의 주국과 최대 7개의 종국을 가지는 블루투스 network
  26. 스캐터넷 : 피코넷의 종국 중 하나가 다른 피코넷의 주국이 되어 여러 피코넷이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는 network
  27. L2CAP : 논리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 LAN에서 LLC 부계층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
  28. 단일 종국 통신 : 블루투스 통신에서 시간을 625us로 나누어 주국은 짝수 틈새, 종국은 홀수 틈새를 사용하는 방식 (1주국, 1종국)
  29. 다중 종국 통신 : 블루투스 통신에서 피코넷에 하나 이상의 종국이 존재할 경우의 통신, 한 종국이 이전 틈새에 주국이 보낸 패킷에 의해 ‘통신 가능함이 지정’되면 종국이 다음 틈새에 전송하는 방식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