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 #5
패킷 교환 연습 문제
문제 1.
가상 회선을 통해 노드 X에서 Y로 56 옥텟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다.
가상회선은 3개의 중간 노드 a, b, c가 있다.
네트워크 내의 각 패킷은 4 옥텟 헤더의 제어정보가 있다. 아래 각 경우에 전송시간을 구하라.
- T : 1 옥텟에 대한 전송시간
- 지연은 전부 무시한다
- 전체 메시지가 하나의 패킷으로 전송된다.
- 메시지를 2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한다.
- 7개의 패킷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 14개의 패킷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 위 문제로부터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
답 1.
현재 상황은 다음과 같다.
X → a → b → c → Y : 총 4번 전송
패킷 크기 = 60 (56+4), 패킷 개수 1개
따라서 \(60 \times 4 = 240\),
답 : 240T패킷 크기 = 32 (28 + 4), 패킷 개수 2개
총 시간1번 패킷이 노드a로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 + 2번패킷이 X → Y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
\(= 32T + 32T \times 4 = 160T\),
답 : 160T패킷 크기 = 12 (8+4) , 패킷 개수 : 7개
총 시간6번 패킷이 노드a로 전송될 때 까지의 시간 + 7번 패킷이 X → Y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
\(= 6 \times 12T + 12T \times 4 = 120T\),
답 : 120T패킷 크기 = 8(4+4), 패킷 개수 14개
총 시간13번 패킷이 노드a로 전송될 때 까지의 시간 + 14번 패킷이 X -> Y 전송되는데 걸리는 시간
\(= 13 \times 8T + 8T \times 4 = 136T\),
답 : 136T패킷 크기가 일정크기 까지는 전송시간이 감소하지만, 일정 크기보다 작아질 경우 오히려 전송시간이 증가한다.
문제 2.
교환망에서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 N : 2개의 주어진 종단 스테이션 간의 홉 수
- L : 메시지 길이 (비트)
- B : 모든 링크의 데이터 전송율 (bps)
- P : 고정 패킷 크기 (비트)
- H : 패킷당 헤더의 비트
- D : 홉당 전파지연 (초)
- S : 호 설정시간 (회선교환 및 가상회선) (초)
(a) (N, L, B, P, H, S, D) = (4, 3200, 9600, 1024, 16, 0.2, 0.001)일 때
회선교환, 가상회선, 데이터그램 방식에 대해 종단 간 지연을 계산하라.
- 확인 응답/처리 지연은 없다고 가정한다.
- 데이터그램 방식에서 동일한 경로를 거친다고 가정한다.
(b) (a)의 세 기법 중 어느 두 기법이 동일한 지연을 가지기 위한 일반적인 조건을 유도하라.
(총 세 가지 경우 존재 : 회선교환-가상회선, 데이터그램-가상회선, 데이터그램-회선교환)
답 2.
각 기법이 걸리는 시간은 아래와 같다. (응답,처리지연은 무시한다)
- 회선 교환 = 호 설정시간 + 전파지연 + 메시지 전송시간
- 데이터그램 = 전파지연 + 모든 패킷이 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
- 가상 회선 = 데이터그램 + 호 설정시간
회선교환
- 호 설정시간 = $S$
- 전파지연 = 홉당 D씩 총 N홉 = \(N \times D\)
- 메시지 전송시간 = 메시지 길이데이터 전송율 = \(\frac{L}{B}\)
따라서 총 걸리는 시간 = \(S + N \times D + \frac{L}{B}\)
데이터그램
패킷의 개수
= (메시지 길이 / 패킷의 데이터 크기)
= 메시지 길이 / ( 패킷의 고정크기 - 헤더비트 )계산하면, \(\frac{L}{P-H}\) (올림)
올림하는 이유 데이터가 1비트라도 남으면 패킷을 하나 더 만들어서 전송해야 한다.
패킷이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
= (패킷의 개수 - 1) x 패킷 하나의 전송시간 + 마지막 패킷이 수신지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패킷 하나의 전송시간 = \(\frac{P}{B}\) 이므로, 모든 패킷이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 ( \frac{L}{P-H} -1 ) \times \frac{P}{B} + \frac{P}{B} \times N\]따라서 모든 시간의 합은
\[T = N \times D + ( \frac{L}{P-H} -1 ) \times \frac{P}{B} + \frac{P}{B} \times N\]
- 가상회선
데이터그램과 동일한 시간 + 호설정지연 = T(데이터그램) + S
(a) 주어진 값들을 다 대입해서 정리하면 된다.
(b)
위에서 구한 각자 시간을 다 = 놓고 남는 변수를 다 0 으로 만들면, 동등해질 조건이 된다.
ex. 가상회선 - 데이터그램
가상회선 = T(데이터그램) + (S/데이터그램) = T
따라서 같은 지연시간이 걸리려면 T+S = T 여야 하므로 S = 0 이면 된다.
호설정지연이 0초일 경우 동일한 지연이 된다.
문제 3.
답 3.
1단 교환기의 입력회선이 n개이면, 출력회선도 최소 n개 이상 존재
→ n개의 입력회선이 동시에 다 on 되어도 전부 출력할 수 있어야 하므로
1단 교환기의 출력회선이 n개라면, 2단 교환기의 개수도 최소 n개 이상 존재
→ 출력회선 1개당 2단 교환기 1개랑 매칭되기 때문이다.
(1,2) 번을 가정한 상태에서 1단 교환기가 모두 ON 되었다고 가정하자. 이 때 임의의 입력회선 X를 보자.
1단 교환기에서 입력 회선과 똑같은 수 만큼 출력회선이 있기 때문에, 회선 X가 갈 수 있는 회선은 1개이다.
→ 나머지 N-1개의 출력회선은 회선 X를 제외한, N-1개의 회선이 사용중이다.
2단 교환기를 보면, 입력 회선은 N개이고, 출력회선도 N개, 2단 교환기의 개수도 N개이다.
따라서 X가 사용할 수 있는 회선은 나머지 모든 회선은 N-1개의 회선이 사용중이므로 1개 밖에 없다.
따라서 회선 X가 출력 가능한 곳은 3단 교환기의 출력 회선에서 딱 1군데 밖에 없다.
그렇다면 X가 3단 교환기의 N개의 출력회선을 모두 이용하려면, N-1개의 회선이 더 존재하면 된다.
→ 현재 X가 1개의 회선을 이용가능하므로, N-1개를 추가해주면, 총 N개의 회선을 이용할 수 있고, 3단 교환기의 어디로든지 갈 수 있다.
따라서 원래 가정했던 출력회선의 개수 N개에, N-1개의 회선을 추가했으므로 총 회선의 개수는 2N-1개 이다.
1~8의 결과로 비차단이 되기 위해 필요한 1단 교환기의 출력회선의 수가 최소 2N-1 임을 확인했다.
1단 교환기의 출력회선의 수가 곧 2단 교환기의 개수이다 (문제2번)
따라서 1-9 의 과정을 통해 교환기가 비차단이 되려면 최소 2N-1 개의 2단 교환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 4.
일반적인 3단 교환기의 전체 입/출력 회선 개수가 각각 N개이고, 1단 크로스바의 입력 회선과 3단 크로스바의 출력 회선이 각각 n개라고 하자.
그 결과 1단 크로스바와 3단 크로스바의 개수는 각각 \(\frac{N}{n}\)개가 된다. 교환기는 비차단이다.
(a) 전체 크로스바 교환기에서 교차점의 총 개수는?
(b) n이 매우 클 때, 비차단 구성을 위한 교차점의 최소 개수를 N의 함수로 구하라
답 4.
(a)
문제의 조건에서 1단 크로스바 와 3단 크로스바의 조건이 완전히 동등하다.
(입출력 회선의 수와 총 크로스 바 교환기의 개수가 동일하므로)
1단 크로스 바 교환기 1개를 보자.
입력 회선은 n개이다. 교환기가 비차단이라고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출력회선(=2단 크로스바 교환기 개수)은 2n-1개가 되어야한다.(문제3번 참조)
따라서 교환기 1개의 교차점의 개수는 \(n \times (2n-1)\) 이 되고, 총 교환기의 개수가 \(\frac{N}{n}\) (문제언급) 이므로
1단 크로스 바 교환기의 총 교차점의 개수는 \(n \times (2n-1) \times \frac{N}{n}\)이 된다.
2단 크로스 바 교환기 1개를 보자.
1단 교환기에 번호를 매겨보면, 1-1번, 1-2번 … 1-N/n번 이 된다.
2단 교환기 1개는 1단 교환기 1개당 1개의 회선을 받는다.
여기서 2단 교환기 중 첫번째를 2-1번 교환기라고 하자.
그렇다면 2-1번 교환기는 1-1번에서 회선1개, 1-2번에서 회선 1개, …, 1- \(\frac{N}{n}\) 번에서 회선 1개를 받는다.
따라서 2-1번 교환기는 \(\frac{N}{n}\) 개의 입력회선을 갖게 된다.
문제에서 3단 교환기의 개수도 \(\frac{N}{n}\) 개 라고 하였으므로, 2단 교환기의 출력 회선 수도 \(\frac{N}{n}\) 개가 된다.
따라서 2단 교환기 1개의 교차점의 수는 \((\frac{N}{n})^2\) 이 된다.
총 2단 교환기의 개수가 2n-1 개 이므로, 2단 교환기의 총 교차점의 수는 \((\frac{N}{n})^2 \times (2n-1)\) 이 된다.
3단 교환기는 1단 교환기와 같은 개수의 교차점을 갖는다.
따라서 총 교차점의 개수
= 1단 교환기의 교차점의 개수 x 2(3단교환기) + 2단 교환기의 교차점의 개수
\(= n \times ( 2n-1 ) \times \frac{N}{n} \times 2 + (\frac{N}{n})^2 \times (2n-1)\)
(b)
n이 매우크다 → 2n-1과 2n은 같은 값이 된다.
(a) 에서 구한 식에 2n-1 대신 2n을 넣어서 정리하면 \(\frac{2}{n} \times (N^2) + 4nN\) 이 된다.
교차점의 개수를 y 라고 두면
최솟값을 찾아야 하므로 미분 = 0 해서 정리하면 된다.
n에 대해 미분하면
\[4 \times N + \frac{-(2N^2)}{(n^2)} = 0\]정리하면 \(n = \sqrt{\frac{N}{2}}\)
\(\frac{2}{n} \times (N^2) + 4nN\) 에 대입해서 정리하면
\(y = 4N \times \sqrt{2N}\) 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