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데이터 통신 #9

데이터링크

  1. 점-대-점 링크(point to point) : 서로 연결된 2개의 장치(단말)가 전용으로 링크를 이용하는 것 ex. 가정집 전화
  2. 브로드캐스트 링크(broadcast link) : 여러 장치 쌍들이 공유되는 링크 ex. 휴대폰 전화 (‘공기’라는 링크가 여러 사용자와 공유됨)
  3. DLC(Data Link Control) : 데이터 링크 제어, 점-대-점과 브로드캐스트 링크에 관한 내용을 모두 다룸
  4. MAC(Media Access Control) : 매체 접근 제어, 브로드캐스트와 관련된 특별한 사항을 다룸
  5. 프레임(Frame) : 데이터 통신망에서 하나의 블록, 패킷으로 전송되는 정보의 단위
  6. 문자 중심 프로토콜 : 데이터가 부호화 시스템의 8비트 문자인 가변 길이 프레임 중 하나
  7. 비트 중심 프로토콜 : 가변 길이 프레임 중 하나
  8. Flag :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을 구별하는 기준 (8비트)
  9. ESC : 탈출 문자, 문자 중심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와 플래그를 구별하기 위한 특별한 바이트
  10. 바이트 채우기 : 문자 중심 프로토콜에서 플래그와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한 기술, 비트 중심 프로토콜에서는 비트 채우기를 사용한다.
  11. 단일 비트 오류 : 데이터 단위 중 하나의 비트만 반전이 일어난 오류
  12. 폭주(버스트) 오류 : 데이터 단위에서 2개 이상의 연속적인 비트가 반전이 발생한 오류
  13. 오류 제어의 구성 : 중복(추가 비트 보내기), 검출 , 정정
  14. 부호화 : 실제 데이터에서 ‘어떤 관계’ 를 이용해 중복 비트를 만들고 제거하는 것. ‘블록 부호화’ 와 ‘컨볼루션 부호화’ 가 있음
  15. 블록 부호화 : 데이터워드에서 코드워드를 만들고, 코드워드로 부터 오류를 검출하는 기술
  16. 코드워드 : 데이터워드에서 특별한 중복 비트를 추가해 만든 코드
  17. 해밍 거리 : 두 개의 같은 크기의 코드 워드 간에 차이가 나는 비트의 개수
  18. 최소 해밍 거리 : 모든 코드워드 쌍들을 XOR 연산해서 나온 해밍거리 중 최소값, 최소 해밍 거리 = 최대 오류 검출 가능 수 + 1 의 관계를 갖는다.
  19. 선형 블록 코드 : 두 개의 유효한 코드워드에 대해 XOR 연산을 하면 다른 유효 코드워드를 생성하는 코드
  20. 패리티 검사 코드 : 코드워드의 1의 개수는 짝수개가 되도록 데이터워드에 한 비트를 추가하는 검사 코드
  21. 순환 코드 : 선형 블록 코드의 성질과 순환성 성질을 모두 만족하는 코드워드
  22. 순환성 : 코드워드를 한 칸씩 왼쪽으로 밀어서 얻는 코드가 다시 코드워드가 되는 구조, 밀린 비트는 오른쪽 끝으로 들어온다.
  23. 순환 중복 검사(CRC : cyclic redundancy check) : 순환 코드의 성질을 이용한 오류를 검출하는 것
  24. 신드롬 (Syndrome) : 코드워드가 데이터워드인지 확인하기 위해 추출한 정보
  25. 검사합 : 모든 길이의 메시지에 적용할 수 있는 오류 검출 방법
  26.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 DLC 프로토콜 중 하나로 점대점, 다중점 링크에서 통신을 위한 비트 중심 프로토콜이다.
  27. 정규 응답 모드(NRM : Normal Response Mode) : 하나의 주국, 여러 개의 종국을 갖는 HDLC의 전송 모드 중 하나. 점대점과 다중점 링크에 모두 사용됨
  28. 비동기 균형모드(ABM : Asynchronous Balanced Mode) : 지국 구성이 균형적(Balanced)인 HDLC의 전송 모드 중 하나. 점대점 링크에 사용됨.
  29. FCS : HDLC의 오류 검출 필드, 2바이트 or 4바이트 CRC
  30. PPP(Point-to-Point Protocol) : 점-대-점 접근에 가장 많이 쓰이는 문자 중심 프로토콜
  31. LCP(Link Control) : 링크 제어 프로토콜, 링크의 설정,유지,구성,해제 담당
  32. AP(Authentication) : 인증 프로토콜, 자원들에 접근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신원 증명 프로토콜
  33. NCP (Network Control) : 협상 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링크 설정,유지,종료 수행
  34. 다중 링크 PPP : 단일 회선에서 다중 채널에 사용되는 PPP
  35. MAC - 임의 접근(Random Access) : 지국은 다른 지국에 의해 제어 받지 않는 접근 방법(ALOHA, CSMA/CD)
  36. MAC - 제어 접근 (Controlled Access) : 어느 지국이 전송 권리를 갖는 접근 방법(폴링,예약,토큰 전달)
  37. 충돌 : 여러 지국이 매체를 공유기 때문에, 두 지국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충돌이 일어나서 데이터가 손상된다.
  38. ALOHA : 임의 접근 방법 중 하나로 매체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즉시 전송하는 방법. ACK신호를 못 받으면 충돌이 발생했다고 판단
  39. CSMA/CD(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 : 임의 접근 방법 중 하나로 전송 이전에 매체를 감지하는 방법.
  40. 예약(Reservation) : 제어 접근 방법 중 하나로 지국이 데이터 전송 전에 ‘예약’을하는 방법.
  41. 폴링(Polling) : 제어 접근 방법 중 하나로 지국 중 하나가 ‘주국’ 이 되고 다른 지국은 종국이 되어 주국이 전송을 통제하는 방법.
  42. 토큰(Token) 전달 : 제어 접근 방법 중 하나로 토큰을 가진 지국이 채널에 접근할 권리를 갖는 방법.
  43. 선행자, 후행자 : 토큰 전달에서 이전에 토큰을 가진 지국을 선행자, 다음에 토큰을 가질 지국을 후행자라고 한다.
  44. 유니캐스트 : 일대일 통신, 유니캐스트 주소를 목적지로 갖는 프레임은 링크에서 하나의 장치와 연결됨
  45. 멀티캐스트 : 일대다 통신, 범위는 로컬 링크로 국한
  46. 브로드캐스트 : 일대전체 통신,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가진 프레임은 링크 내 모든 장치로 전달
  47. 주소 변환 프로토콜(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주소를 지정된 링크 계층 주소에 매핑 시킨 후, 데이터 링크 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