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데이터 통신 #5

물리층

  1. 데이터 : 사용자간의 합의된 형태의 어떤 ‘정보’
  2. 데이터 통신 : 어떠한 ‘매체’ 를 통하여 두 장치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3. 정확성 & 적시성 :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하고 알맞게 도착하는가
  4. 프로토콜 : 데이터 통신을 통제하는 ‘규칙’ 집합으로 계층에 따라 여러 프로토콜로 나눠져 있음
  5. 단방향 : 한쪽 방향으로만 가능
  6. 반이중 : 양쪽 방향이 가능하지만 동시는 불가능
  7. 전이중 : 양쪽 + 동시 가능
  8. 네트워크 : 서로 통신이 가능한 연결된 장치들의 모임
  9. 호스트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 중 컴퓨터, 데스크톱, 랩톱, 워크스테이션, 휴대폰, 보안 시스템 등을 말한다.
  10. 연결 장치 :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모뎀, 라우터, 교환기 등을 말한다.
  11. 네크워크 평가 : 성능, 신뢰성, 보안
  12. 성능 : 처리율과 지연율로 평가
  13. 신뢰성 : 네트워크의 정확성, 고장 복구 능력, 안전성 등으로 평가
  14. 보안 : 불법 접근 및 손상으로 부터의 데이터가 보호되는 능력
  15. LAN : 근거리 통신망, 가까운 거리의 장치들을 연결하는 통신망 ( 학교/회사,건물 정도의 크기 )
  16. WAN : 광역 통신망, 먼 거리를 연결하는 통신망 ( 국가, 대륙 )
  17. Internet : 2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결된 것
  18. TCP/IP :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집합(모델)으로 5개의 계층(Applicatioin, Transport, Network, Data link, Physical)으로 구성됨
  19. 프레임 : 데이터 통신,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어떤 비트들의 집합을 부르는 단위, 계층에 따라 명칭이 바뀌기도 한다.
  20. 물리층 : 프렝미의 각 비트를 링크를 따라 전달
  21. 데이터 링크층 : 라우터로부터 유선,무선 링크(매체)가 결정되면 데이터를 해당 링크로 전송하는 계층
  22. 네트워크층 : 발신지 컴퓨터와 목적지 컴퓨터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는 계층
  23. 전송층 : 응용층으로부터 메시지를 받아 전송층 패킷으로 캡슐화해서 목적지 전송층의 논리적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계층
  24. 응용층 : 프로세스간 통신을 맡는 계층
  25. 메시지 : 비트로 표현 되는 데이터
  26. 신호 : 전압의 움직임 변화로 물리층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실체’
  27. 아날로그 : 연속적인 데이터 값을 갖는 신호
  28. 디지털 : 제한된 수의 값을 갖는 신호
  29. 진폭 : 전송하는 신호의 가장 큰 세기 ( 전기 신호일 경우 최대 전압 )
  30. 주기 : 하나의 패턴이 만들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 (초)
  31. 주파수 : 1초에 만들어지는 패턴의 개수 (Hz)
  32. 위상 : 시간 축에 따른 파형
  33. 파장 : 전파 속도를 주파수로 나눈 값
  34. 대역폭 : 복합신호의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
  35. 신호 장애 : 신호가 매체를 통해 전송될 때 발생하는 문제들 ( 감쇠, 왜곡, 잡음)
  36. 감쇠 : 신호가 매체를 통해 전송될 때 매채의 저항 등의 이유로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 파형은 유지하지만 진폭이 줄어드는 현상
  37. dB (데시벨) : 신호의 손실 정도를 체크하는 단위
  38. 왜곡 : distortion, 신호가 어떤 원인 등에 의해서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는 현상
  39. 잡음 : noise, 자연적인 현상, 혼선, 충격 등에 의해 신호가 변화되는 것
  40. 데이터 전송률 : 채널을 통해 매 초 몇 비트를 전송하는 지에 대한 정도
  41. 나이퀴스트/섀넌 수식,용량 : 매체의 데이터 전송률을 측정하는 수식
  42. 지연 : 발신지에서 데이터의 첫 비트가 목적지에 완전히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
  43. 파형 난조 : 서로 다른 데이터 패킷이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질 경우 패킷의 순서가 뒤바뀌는 문제
  44. 디지털-대-디지털 변환 :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회선 부호화, 블록 부호화, 스크램블링
  45.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 : 펄스 코드 변조(PCM), 델타 변조(DM)
  46.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 : 진폭/주파수/위상/직교 편이 변조(ASK,FSK,PSK,QAM)
  47. 아날로그-대-아날로그 변환 : 진폭/주파수/위상 변조(AM,FM,PM)
  48. 다중화 : 매체 용량 > 장치의 전송 용량일 때 매체에 여러 장치의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
  49. FDM : 주파수 분할 다중화
  50. TDM : 시분할 다중화
  51. 전송 매체 : 물리층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가 실제로 전달되는 통로
  52. 유도/비유도 매체 : 유선/무선 매체
  53. 꼬임 쌍선 : 구리선, 절연체 등으로 구성된 선, 비차폐선(UTP) 와 차폐선(STP) 존재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전송의 모습 Desktop View





수식

  1. 대역폭 : 최고 주파수 - 최저 주파수

  2. 파장 - 주파수 - 주기
    Desktop View

  3. 비트율 : 초당 전송된 비트수 ( bps - b/s) bit / second 로 계산

  4. 비트 길이 : 한 비트가 전송되는 시간 ( 1/bps - 초)

  5. 신호율 : 초당 전송되는 신호의 수 ( 신호율 <= 비트율 )

  6. dB : 신호의 손실된 강도를 직관적으로 보기 위한 식 Desktop View P1 : 전 신호의 전력 , P2 : 후 신호의 전력

  7. 신호 대비 잡음비 ( SNR ) Desktop View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