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 #2
신호
- 메시지 : 비트로 표현 되는 데이터
- 신호 : 전압의 움직임 변화로 물리층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실체’
- 송신자 입장에서는 메시지(비트)가 신호(전압 변화)로 바뀌어 전송
- 수신자 입장에서는 신호가 메시지로 바뀌어서 보임
- 아날로그 : 연속적인 데이터 값을 갖는 신호
- 디지털 : 제한된 수의 값을 갖는 신호

아날로그 신호
- 주기 / 비주기 : 반복된 패턴을 가지면 주기 신호, 아니면 비주기 신호라고 함
- 데이터 통신에는 보통 주기 신호를 사용
- 주기 신호는 단순 신호와 복합 신호로 분류
단순 신호
- 대표적으로 정현파(sin)가 있으며 진폭, 주파수, 위상으로 표현됨
- 진폭 : 전송하는 신호의 가장 큰 세기 ( 전기 신호일 경우 최대 전압 )
- 주기 : 하나의 패턴이 만들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 (초)
- 주파수 : 1초에 만들어지는 패턴의 개수 (Hz)
- 위상 : 시간 축에 따른 파형
- 파장 : 전파 속도를 주파수로 나눈 값
정현파의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도면
시간 영역 : 시간에 따른 ‘진폭’ 확인
주파수 영역 : 주파수에 대한 ‘최대 진폭’ 확인
복합 신호
- 여러 개의 단순 정현파로 만들어진 신호
- 실제 데이터 통신에서 활용되는 것들은 대부분 복합신호임
- 대역폭 : 복합신호의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
디지털 신호
-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표현가능
- 양전압은 1로 0전압은 0으로 표현하는 식의 방법으로 부호화 가능
- ‘준위(레벨)’ 을 통해 다양한 신호를 만듦
- 비트율 ( = bitrate ) : 1초 동안 전송된 비트의 수 (bps) ( 대문자 B로 쓰일 경우 Byte를 의미 )
- 비트 길이 : 한 비트 전송 매체 내에서 소모하는 길이 = 한 비트가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
- 디지털 신호의 전송 : 기저대역 전송 ( 디지털 신호를 바꾸지 않고 전송 ) / 광대역 전송 ( 디지털 →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서 전송 )
- 디지털 신호에서는 ‘레벨’ 보다 ON/OFF가 더 중요하다.
신호 장애 ( 감쇠, 왜곡, 잡음)
감쇠 (attenuation)
- 신호가 매체를 통해 전송될 때 매채의 저항 등의 이유로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
- 파형은 유지하지만 진폭이 줄어드는 현상
- 증폭기를 통해 다시 파형을 키우는 방법으로 해결
- dB (데시벨) : 신호의 손실 정도를 체크하는 단위
- db = 10 log (p2 / p1) ( p1 : 전 신호의 전력 / p2 : 후 신호의 전력 )
- ex . 출발 신호가 100이고 도착 신호가 10 이면 dB 은 -10만큼 감소
왜곡 (distortion)
- 신호가 어떤 원인 등에 의해서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는 현상
잡음 (noise)
- 감쇠나 왜곡과 다르게 출발 신호에서 변화가 생기는 것이 아님
- 자연적인 현상, 혼선, 충격 등에 의한 ‘잡음’에 의해 신호가 변화되는 것
- SNF ( 신호 대 잡음 비 ) 라는 성능 지표 사용

잡음의 해결
내가 보내는 신호의 진폭이 A인데 A에 비해 잡음의 진폭의 매우매우 작다고 하면, 잡음에 의해 내 신호의 조그마한 변화가 생길 수는 있지만 전체적인 위상이나 주기에는 변화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내 신호의 진폭을 증폭시킴으로써 잡음에 대한 대비를 어느 정도 할 수 있다.
어떤 디지털 신호의 레벨을 함부로 작은 단위로 나누지 못하는 것도 위의 이유에 따른다. 디지털 신호가 아주 작은 진폭마다 레벨이 달라진다면 아주 작은 진폭에도 전송되는 메시지가 바뀌어 버릴 수 있다.
데이트 전송률의 3 요소 ( 3 요소에 의해 정해짐 )
- 가용 대역폭
- 사용 가능한 신호 준위
- 채널의 품질 (잡음 정도)
데이터 전송률의 계산 수식
- 나이퀴스트 수식 : 잡음 X 채널에서 사용
- 섀넌 수식 : 잡음 O 채널에서 사용 ( 실제로 잡음이 없는 채널은 존재하기 어렵다 )
나이퀴스트 전송률 : 잡음이 없는 채널에서의 전송률
섀넌 용량 : 잡음이 있는 채널에서 ‘무결한 통신 ( 원활한 통신 )’ 이 가능한 최대 전송률

만약 신호대비 잡음비 (SNR) 이 0이라면 log2 (1+0) 이 되므로 C = 0 이 된다. 이것은 대부분이 잡음인 채널은 비트를 전송할 수 없다는 뜻이다.
대역폭과 SNR이 주어진 상황에서 전송률과 준위 구하기 채널의 최대 상한을 섀넌 수식을 통해 구한다. 섀년 수식을 넘지 않는 최대 신호 준위를 나이퀴스트 수식을 통해 구한다.
성능
네트워크 성능 평가 지표
- 대역폭
- 처리율
- 지연
대역폭
- Hz 단위 대역폭 :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범위
- bps 단위 대역폭 : 채널을 통과할 수 있는 초당 비트 수
처리율
- 대역폭은 채널의 잠재적 최대 성능이고, 처리율은 어떤 지점을 데이터가 얼마나 빨리 지나가는가 이다.
- 즉 처리율은 실제로 얼마나 데이터가 통과하고 있는지 이다. 이는 절대 대역폭을 넘어설 수 없다.
지연
- 지연 : 발신지에서 데이터의 첫 비트가 목적지에 완전히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 = 전파 시간 + 전송 시간 + 큐 시간 + 처리시간
대역폭 - 지연 곱 임의의 두 지점을 잇는 Link를 파이프라고 생각했을 때, 파이프의 단면은 대역폭이 되고 파이프의 길이는 지연이 된다. 파이프의 길이 만큼 지연되는 것이다. 대역폭 - 지연 곱은 파이프에 최대 얼마의 비트가 존재할 수 있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 파형 난조 : 서로 다른 데이터 패킷이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질 경우 생기는 문제 서로 다른 지연 때문에 1번 데이터는 너무 빨리 도착하고 2번 데이터는 3번보다 늦게 도착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같은 경우에는 파형 난조가 문제를 일으킨다. ( 음성 / 화상 통신, 실시간 영상 )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